남자 군인 간부, 병은 군 전역과 동시에 일정기간 예비군에 편성되고 예비군 훈련을 받아야 합니다. 예비군에 대해서 알고 있지만 훈련은 어떻게 하는지 궁금할 수 있어서 예비군 훈련 대상 및 훈련종류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비군은 신분, 연령, 연차, 동원지정 등 꽤 복잡한데요 여기서 쉽게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예비군 훈련 대상 알아보기
남자 군인이 전역을 하면 다음날부터 예비군 0년 차가 됩니다. 1.1일~12.31일까지 0년 차가 되어서 훈련은 없습니다.
다음 연도에 1년 차가 되어 예비군 1년 차부터 훈련이 부과되는 것입니다.
예를 들어 12.31일 전역을 하면 전역일은 0년 차가 되는 것이고 다음날 1.1일부터 1년 차가 되어서 예비군 훈련 대상이 되는 것입니다.
예비군 훈련은 병의 경우 예비군 6년 차까지 정기 훈련이 나오게 되고 정기 훈련을 전부 이수하지 못하게 되면 8년 차까지 훈련이 나와서 이수해야 합니다.
그런데 8년 차가 끝나면 예비군에서 제외 되므로 그동안 받지 못한 훈련도 모두 사라지게 되는 것입니다.
예비군 간부는 연령 정년까지 예비군에 편성되고 만약 6년 차까지 못 받은 훈련이 있다면 연령 정년까지 계속해서 훈련이 나오게 됩니다.
※ 간부 연령 정년 : 소령 50세, 대위, 중위, 소위 43세, 상사 53세, 중사 45세, 하사 40세
병은 예비군 8년차까지 예비군에 편성되니 본인의 예비군 연차를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예비군 훈련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기
예비군 훈련은 동원 예비군 훈련과 지역 예비군 훈련으로 구분하여 훈련합니다.
동원예비군 훈련은 동원훈련, 동미참 훈련이 있습니다.
지역예비군 훈련은 작계훈련, 기본훈련이 있습니다.
훈련은 훈련 예정일 한달전에 훈련편성이 되고 훈련 전까지 문자, 메일 등으로 연락을 해줍니다. 걱정하지 않아도 휴대폰 등 연락체계가 있으면 알아서 훈련내용이 전달될 것입니다.
동원훈련은 1~4년차 동원지정 예비군에게 부과되는 훈련으로 육군, 해병대 병은 주소지 관할 각 지역별 동원 훈련장에 입영하여 28시간 훈련을 받게 됩니다.
육군, 해병대 간부는 1~6년차 까지 동원훈련을 받습니다.
정보사, 기무사, 특전부대, 카투사 등은 별도 지정부대에서 훈련을 받을 수 있습니다.
또한 공군과 해군의 동원훈련은 공군과 해군에서 지정한 부대에 입영하여 28시간 훈련을 합니다.
동원훈련 일정은 연초에 모두 계획이 되니 필요하시면 예비군 중대 또는 지방 병무청에 확인하시면 알 수 있습니다.
동미참 훈련은 1~4년차 동원지정 예비군과 1~4년차 동원미지정 예비군에게 부과되는 훈련으로 각 지역별 예비군 훈련장(예비군 훈련대)에서 출퇴근 32시간(하루 8시간씩)을 받게 됩니다.
여기서 1~4년 차 동원지정 예비군은 동원훈련을 받아야 하지만 부대 및 개인사정(훈련 연기, 주소지 전, 출입 등)으로 주소지 관할 각 지역별 동원 훈련장에 동원훈련 일정이 없는 경우 각 지역별 예비군 훈련장(예비군 훈련대)에서 훈련하는 것입니다.
또한 공군 간부, 병 그리고 육군 간부, 해군 간부 동원미정자의 동미참 훈련은 각 군에서 지정한 부대에 입영하여 28시간 훈련을 합니다.
작계훈련은 예비군 5~6년 차를 대상으로 하는 훈련입니다.
전, 후반기 각각 6시간씩 훈련하며 해당 예비군 중대에 소집하여 훈련을 하게 됩니다.
주로 지역의 중요 지역 및 시설을 방호하는 훈련을 합니다.
소대장과 중대본부는 작계훈련과 기본훈련(전, 후반기 4시간씩 쪼개서)을 동시에 예비군 중대에 소집하여 훈련합니다.
2024년 후반기부터는 원격교육을 도입하여 원격교육 2시간, 작계 소집교육 4시간을 훈련하는 형태로 변경을 추진하고 있습니다.
기본훈련은 예비군 5~6년 차를 대상으로 하는 훈련입니다.
8시간 하루 훈련이며 해당 지역 예비군 훈련장(예비군 훈련대)에서 입소하여 훈련합니다.
보류자 중(1~6년 차) 학생처럼 기본훈련 8시간을 받아야 하는 직종이 있습니다.
보류직종과 훈련내용을 확인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부과된 각종 훈련은 예비군 홈페이지에서 나의 훈련정보 탭에서 확인할 수 있으니 활용해 보시기 바랍니다.
예비군 훈련 대상과 훈련 종류에 대해서 알아보았는데요 부대별 또는 개인 사정에 따라서 다를 수 있으니 지방 병무청 또는 예비군 중대(동대, 면대)에 함께 알아보시면 더 도움이 될 것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