예비군 5년 차 이상이 되면 동원훈련, 동미참 훈련은 받지 않고 기본훈련과 작계훈련을 받게 되는대요. 이번에는 작계훈련에 대해서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비군 5년 차 이상이 되면 동원훈련처럼 훈련장에서 숙영 하거나 동미참 훈련처럼 훈련시간이 길지 않은 훈련이 나옵니다. 여기서 5년 차이상이 받아야 하는 작계훈련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작계훈련 대상과 훈련 시간
예비군 5~6년 차를 대상으로 하는 훈련은 기본훈련(8시간)과 작계훈련(전, 후반기 각각 6시간씩)이 있습니다.
2년 동안 받아야 하는 훈련이 정해져 있고 정해진 훈련 시간을 전부 이수하지 못하면 7년 차, 8년 차까지 계속 훈련이 부과되어 받아야 하는 것입니다.
지역예비군 훈련은 훈련별로 총 3차까지 훈련이 나오게 됩니다. 전반기 작계훈련, 후반기 작계훈련 각각 총 3차까지 부과되며 1차 훈련을 무단불참 한경우에는 2차, 3차 이렇게 훈련차수가 증가하여 부과 되게 됩니다.
만약, 2차 훈련을 연기하였다면 다음 훈련은 2차 훈련으로 나오게 됩니다.
작계훈련 내용 세부적으로 알아보기
훈련 장소는 1차, 2차 훈련까지는 주소지 관할 예비군 중대(동대, 면대)에서 합니다.
여기서 1차, 2차 훈련은 개인 훈련차수가 아니고 부대에서 계획한 훈련 일정 차수입니다.
훈련 입소시간은 부대와 훈련종류에 따라서 다를 수 있습니다.
입소시간까지 입소를 하지 못하면 무단불참이 되니 훈련 소집 통지서를 잘 확인하시기를 추천드립니다.
훈련 내용은 총기수송 및 불출, 방호지역 이동, 주소지 관할 중요지역 방호 훈련 위주로 합니다.
전반기 작계훈련, 후반기 작계훈련을 예비군 중대에서 각각 2차까지 진행했는데 훈련을 이수하지 못한 경우 지역예비군 훈련장(과학과 예비군훈련장, 예비군 훈련대)에서 입소하여 훈련을 받습니다.
가급적 가까운 예비군 중대에서 훈련을 받는 게 좋을 것 같습니다.
작계훈련 1차, 2차 훈련까지는 인터넷으로 훈련신청을 할 수 없습니다.
예비군 중대에서 훈련 편성하는 날 훈련에 참석해야 하는 것입니다.
TIP. 그런데 작계 3차 훈련(부대 훈련 일정 차수) 또는 이월훈련이 되어 지역 예비군 훈련장에 입소하여 훈련하는 경우에는 인터넷 신청이 가능해서 원하는 일정에 훈련을 받을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작계 3차 훈련을 인터넷으로 신청할 수 있는 것은 전국단위 훈련, 휴일 예비군 훈련입니다.
예비군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전국단위 훈련 또는 휴일 예비군 훈련 탭에서 신청할 수가 있습니다.
거주지와 가까운 주변 예비군 훈련장이 있으면 부대 훈련 일정, 훈련 가능인원을 확인하시고 신청할 수가 있습니다.
이경우 각 부대별 훈련 일정이 다르므로 훈련일정을 잘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훈련 종료 후에 소집필증은 예비군 홈페이지-조회 서비스- 교육필증 인쇄 탭 또는 나의 정보-나의 훈련정보에서 출력할 수 있습니다.
지역예비군 훈련과 같이 3차 훈련을 무단불참 할 경우에는 고발이 있습니다.
훈련 입소 할 때는 신분증을 제시해야 하고요. 예비군복과 전투화 등을 잘 갖추어서 가야 하겠습니다.
군복 등이 갖추어지지 않으면 훈련을 받을 수 없습니다.
군복과 전투화가 몸에 맞지 않으면 사전에 예비군 중대에 문의해서 알아보시기를 추천드립니다.
예비군 중대본부 요원 작계훈련 방법
중대본부 요원은 전반기, 후반기 작계를 각 10시간씩을 예비군 중대에서 받게 됩니다.
5년 차 이상은 지역 예비군 훈련장에 입소하여 기본훈련 8시간을 받아야 하는데 기본훈련을 받지 않고 전반기, 후반기 각각 4시간씩 잘라서 작계훈련과 같이 받는 것입니다.
전, 후반기 소집점검 각 4시간, 작계 각 6시간 해서 총 20시간이 되는 것입니다.
중대 요원은 예비군 중대에서 따로 연락이 갈 것이므로 걱정 안 하셔도 됩니다.
TIP, 만약 전출, 무단불참, 연기 등 전반기 훈련 때 1, 2차까지 해서 작계훈련은 이수하였으나 소집점검 4시간을 이수하지 못한 경우는 지역예비군 훈련장에서 8시간 기본훈련을 받는 것입니다.
소집점검은 원래 기본훈련에서 왔기 때문에 다시 기본훈련으로 부과되는 것입니다. 이런 경우 소집점검을 2차 무단불참 하더라도 기본훈련 차수는 1차 훈련부터 적용해서 훈련이 나오게 됩니다.
또는 전반기 작계 때 소집점검은 받았는데 후반기 작계 할 때 소집점검을 받지 못한 경우는 기본훈련 4시간이 1차 훈련으로 부과됩니다.
주소지를 옮기는 경우 훈련 방법
주소지 전출로 인해 예비군 중대(동대, 면대)가 바뀌면 통지되었던 예비군 훈련은 모두 사라지게 됩니다.
전입지 예비군 부대에서 새로 훈련을 부과하게 됩니다.
잘못 알고 이전 통지되었던 훈련장에 가게 되면 낭패를 볼 수 있으니 주소지를 옮기면 전입지 예비군 중대에 문의하여 확인해 보시기 바랍니다.
이경우 새로 옮긴 전입지 예비군 중대의 전반기 작계 2차 훈련이 끝났다면 후반기에는 전반기 작계 2차 훈련을 예비군 중대에서 하는 것은 없습니다.
지역예비군 훈련장으로 작계 2차 훈련을 받으러 가야 하는 것입니다.
2024년 후반기부터 작계훈련 변경사항
2024년 후반기부터는 6년 차 예비군을 대상으로 원격교육을 시행합니다.
후반기 작계 훈련 전에 원격교육을 수강하고 원격교육을 수강하면 후반기 작계훈련은 소집교육으로 4시간을 진행하는 것입니다.
원격교육을 이수하지 않으면 원래대로 소집하여 총기 불출, 방호지역 이동, 상황훈련 등 6시간을 훈련하게 되는 것입니다. 원격교육을 이수하고 작계 1차 훈련에 모두 종결짓는 게 아무래도 좋을 것 같습니다.
이렇게 작계 훈련에 대한 사항을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
작계훈련은 5년 차, 6년 차 예비군 모두 1차 훈련에 종료하는 게 여러모로 좋을 것이라고 생각이 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