동원훈련은 예비군 중 동원 지정자가 받는 훈련입니다.
예비군 병 1~4년 차, 간부 1~6년 차를 대상으로 하고 있습니다. 비상소집을 할 때 또는 훈련 소집을 할 때는 우선 개인에게 알려야 하겠죠. 그래서 사전에 소집 통지서를 보내는 것입니다.
동원훈련을 받기 전에 2가지 통지서를 받게 됩니다.
병력동원 소집 통지서와 병력동원훈련 소집 통지서를 받게 되는대요. 여기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예비군 병 1~4년 차, 간부 1~6년 차는 병무청에서 동원지정을 합니다. 동원지정은 비상시 병력동원 대상을 사전에 선정하여 준비하는 것입니다.
동원지정은 연초 그리고 부대 및 개인사정이 생겼을 때 지정, 재지정을 하여 동원대상을 최신화하고 수정하여 병력동원에 차질이 없도록 계속 이루어집니다.
동원지정이 되면 병력동원(전시근로) 소집 통지서를 개별로 등기 또는 수신동의 한 경우 모바일 앱 등으로 발송을 합니다.
어느 날 도착한 소집 통지서를 보고 지금 소집해야 하는 것인가? 라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
앞서 설명드렸듯이 병력동원 소집 통지서는 유사시 예비군을 동원할 경우 미리 보내는 통지서로 여기에는 동원지정 부대, 비상발령 시점부터 집결 시간, 집결장소 내용 등이 들어있습니다.
동원 지정은 학생보류자, 간부 7년 차 이상, 병 7~8년 차도 지정이 됩니다.
훈련 끝난 것 아닌가? 라고 생각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이것도 나중에 보충자원이 부족할 경우 사전에 지정하여 수급을 유지하기 위한 것입니다.
7년 차 이상은 매년 이수해야 할 예비군 훈련은 없습니다.
학생 보류자 중에 동원 지정이 되는 경우는 집단으로 지정하기 때문에 규모가 큰 대학교 학생 위주로 동원지정이 됩니다.
같은 학교인데 동원 지정이 안 되는 사람도 있습니다.
학생은 보류자로 기본훈련 8시간만 받으면 되는 것 아닌가? 라고 생각 하실 것입니다.
이것도 보충자원이 부족할 경우를 대비하여 사전에 지정해 두는 것입니다.
그런데 학생은 조금 다른 점이 있습니다.
학생 중 동원지정자는 동원훈련 8시간을 받습니다. 훈련 시간은 학생보류자 훈련과 동일한데 동원훈련부대에 입소하여 동원훈련 과제를 받는다는 것이 다른 점입니다.
이동은 학교에서 집단으로 수송하게 됩니다. 개별 입소도 가능합니다.
동원지정이 되면 병력동원소집 통지서를 받게 되고 훈련이 있으면 훈련 전 40일 전에 병력동원훈련 소집 통지서를 받게 되는 것입니다.
병력동원훈련소집 통지서에는 집결장소, 입소시간, 복장 등 준수해야 하는 내용이 있습니다.
동원지정은 크게 개별지정과 집단으로 지정하는 경우가 있습니다.
개별지정하는 경우는 소수인원으로 개별로 장소, 시간에 맞추어서 입소하면 됩니다.
집단지정된 사람은 집결장소에 모두 집결하여 차량 등을 이용하여 집단으로 동원훈련장까지 이동하게 됩니다.
수도권 같은 경우 가까운 지역에 동원지정 되지 않고 멀리 있는 부대나 강원지역에 동원지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경기 북부와 강원도 지역은 사람이 적기 때문에 수도권 지역에 있는 사람으로 지정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동원지정은 계급, 병과, 주특기, 배정지역 등 여러가지를 반영해서 정하게 됩니다.
비상 상황 및 전시를 대비해서 준비하는 것이기 때문에 부대가 멀리 있더라도 동원지정된 부대에서 훈련을 해야 하겠습니다.
개인별 사정에 의해서 훈련부대를 변경한다면 상당한 혼란이 생길 수 있을 것입니다.
주소지에 거주하지 않고 출장 또는 오랫동안 집에 없어서 병력동원훈련소집 통지서를 수령할 수 없는 경우에는 온라인으로 신청하여 모바일앱 또는 이메일로 통지서를 수령할 수가 있습니다.
병무청 - 민원신청 - 동원/예비군 - 병력동원훈련 소집 - 모바일앱, E-mail 동원훈련소집 통지서 수령 신청 탭에서 신청하면 됩니다.
동원훈련장은 병력동원훈련 소집 탭에서 찾으실 수 있습니다.
병무민원
mwpt.mma.go.kr
이렇게 병력동원 소집 통지서와 병력동원훈련 소집 통지서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았습니다. 도움이 되었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