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59

병역판정검사 편평족(평발) 등, 발가락 강직, 하지의 운동제한 및 결손, 무릎 관절 질환 등 신체검사 등급 기준 알아보기 군복무 전에 병역판정검사(구 징병검사)와 입영판정검사(구 입영신체검사) 등을 해서 신체등급을 받게 됩니다. 신체등급이 어떻게 나오느냐에 따라서 병역판정에 많은 영향을 미치겠습니다. 병역판정 1~3급은 현역병, 4급은 보충역, 5급은 전시근로소집, 6급은 병역 면제, 7급은 재신체검사로 판정됩니다. 현재 진행 중인 경우는 7급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병영판정검사할 때 신체등급 4 ~ 6급 질병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편평족, 요족, 무지외반증 등 1. 편평족 ♤ 방사선 사진의 경우 병무청 또는 군 병원에서 촬영한 사진으로 판정합니다. ▶ 고도 : 체중부하 단순방사선 측면사진상 거골(발목) - 제1중족골(엄지발가락) 각도 30˚ 이상이면서 체중부하 단순방사선 전후면 사진상 거주상골 피복각 7 ˚.. 2024. 3. 15.
병역판정검사 어깨관절, 대퇴슬개 관절, 관절 운동제한, 손가락 과다 유착 강직, 손가락 및 손목 결손 등 신체검사 등급 기준 알아보기 군복무 전에 병역판정검사(구 징병검사)와 입영판정검사(구 입영신체검사)등 신체검사를 통해서 신체등급을 받게 됩니다. 신체등급에 따라서 병역판정이 달라지기 때문에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병역판정 1~3급은 현역병, 4급은 보충역, 5급은 전시근로소집, 6급은 병역 면제, 7급은 재신체검사로 판정됩니다. 7급은 현재 진행 중인 병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병영판정검사할 때 신체등급 4 ~ 6급 질병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어깨관절의 불안정성 ♤ 주된 병변을 기준으로 하여 판정하고, 외상성 전방 불안정성, 다방향성 어깨관절 불안정성, SLAP병변이 있는 경우는 서로 합산하지 않습니다. 1. 외상성 전방 불안정성 ▶ 과거력이 있고 이학적 검사상(시진, 촉진, 타진, 청진 등) 양.. 2024. 3. 14.
병역판정검사 활액낭염, 관절염, 수부/족부 무혈성 괴사, 근육손실, 종양, 대관절 강직 등 신체검사 등급 기준 알아보기 군복무 전에 병역판정검사(구 징병검사)와 입영판정검사(구 입영신체검사)를 통해서 신체검사하고 신체등급을 받게 됩니다. 신체등급에 따라서 병역판정이 달라지기 때문에 중요한 사항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병역판정 1~3급은 현역병, 4급은 보충역, 5급은 전시근로소집, 6급은 병역 면제, 7급은 재신체검사로 판정됩니다. 7급은 현재 진행 중인 병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병영판정검사할 때 정형외과 신체등급 4 ~ 6급 질병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활액낭염 및 건초염 활액낭(점액낭)이란 관절주위의 막으로서 점액을 가진 조그만 주머니 형태입니다. 운동으로 인한 마찰을 줄여주고 관절이 보다 윤활하게 움직이도록 도와주는 역할을 합니다. 건초염이란 근육이나 관절을 과다하게 사용하여 인대를 둘러싼 건.. 2024. 3. 11.
병역판정검사 골절, 건 손상, 불안정 관절, 골수염, 척추 또는 상, 하지 대관절에 결핵 등 신체검사 등급 기준 알아보기 군복무 전에 병역판정검사(구 징병검사)와 입영판정검사(구 입영신체검사) 등을 할 때 신체검사를 통해서 신체등급을 받게 됩니다. 병역판정은 신체등급에 따라서 달라질 수 있습니다. 병역판정 1~3급은 현역병, 4급은 보충역, 5급은 전시근로소집, 6급은 병역 면제, 7급은 재신체검사로 판정됩니다. 7급은 현재 진행 중인 병이 대부분이기 때문에 여기서는 병영판정검사할 때 신체등급 4 ~ 6급 질병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골절 1. 골절 후 골유합(다시 붙은 것)은 되었으나 재골절의 위험성이 높은 경우 - 4급 2. 골석화증(유전자 검사 결과를 기준으로 판정합니다.) ▶ AD type - 4급 ▶ AR type - 6급 ※ 골석화증 : 뼈를 흡수하기 위한 파골세포의 기능부전으로 뼈의 형성과 재형.. 2024. 3.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