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군대 및 예비군59

예비군 훈련 동원훈련, 동미참 입영훈련 지원금 여비(교통비) 보상비 알아보기 동원훈련 또는 동미참 입영 훈련할 때 멀리 가는 경우가 많습니다. 동원훈련과 동미참 입영 훈련은 훈련을 받을 때 지원금이 나오는대요. 개인 계좌로 직접 송금받을 수 있는 지원금도 있습니다. 여러 가지 지원금이 있는대요. 어떤 것들이 있는지 훈련 간 각종 지원금을 한번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동원훈련, 동미참 입영 훈련에 대한 지원금이 얼마나 나오는지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동원훈련 지원금 동원훈련은 멀리 이동해야 하는 소요가 있어서 입소할 때, 퇴소할 때 각각 지원금이 나옵니다. 입소할 때 여비(식비, 교통비)와 시내 교통비가 지급되는데요 단체 수송을 통지받은 사람은 단체버스를 타고 이동하기 때문에 교통비는 지급되지 않고 30Km이상 거리이면 여비(식비 8,000원)만 지급됩니다. 교통비는 지방 병.. 2024. 1. 17.
예비군 훈련 기본훈련 알아보기 예비군 4년 차까지 동원훈련, 동미참 훈련을 받아오다가 5년 차가 되면 훈련시간도 줄고 멀리 가지 않아도 되는 지역예비군 훈련을 받는데요. 그중에 기본훈련이라는 것이 있습니다. 예비군 4년 차가 끝나면 이제 동원훈련, 동미참 훈련은 받지 않습니다. 5년 차부터는 기본훈련과 작계훈련을 받는데요. 여기서 지역예비군 훈련 중에 기본훈련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기본훈련 대상과 훈련시간 기본훈련은 예비군 5년 차, 6년 차 때 받는 훈련입니다. 6년 차까지 지역예비군 훈련을 받는데요. 매년 작계훈련과 함께 기본훈련 8시간을 2년 동안 받는 것입니다. 정해진 훈련을 전부 이수하지 못하면 예비군 8년 차까지 훈련이 계속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기본훈련은 매년 총 3차까지 부과되며 1차 훈련을 무단불참하.. 2024. 1. 16.
예비군 훈련 동미참 훈련 알아보기 예비군 1~4년 차 중에 동원훈련을 받는 사람과 동미참 훈련을 받는 사람이 있는데요. 동원훈련과 동미참훈련은 어떤 차이점이 있는지 알아보고 동미참 훈련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동미참 훈련은 출퇴근 32시간을 받는 훈련인데요. 어떤 경우 동미참 훈련을 받고 훈련은 어떻게 이루어지는지 여기서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동원훈련과 동미참 훈련의 차이 동원훈련은 예비군 1~4년 차 중에서 동원지정이 된 사람(지방병무청에서 지정)이 받는 훈련으로 동원훈련장에 입영하여 3일간(28시간) 받는 훈련입니다. 동미참 훈련은 주소지 관할 예비군 중대(동대, 면대)에서 훈련을 부과합니다. 1. 예비군 1~4년 차 중에서 동원지정이 되었으나 주소지 이전, 훈련 연기 등 여러 가지 개인사정 또는 부대사정(부대훈련 일정.. 2024. 1. 15.
예비군 훈련 동원훈련에 대해서 알아보기 예비군 훈련 중에 동원훈련이 나오다가 동미참 훈련이 나오는 경우도 있고 어떤 경우는 동미참 훈련만 나오는 때도 있을 것입니다. 또는 동원훈련 말만 들었지 어떻게 되는지 궁금하실 거예요. 그래서 동원훈련에 대해서 한번 알아보겠습니다. 예비군 훈련은 크게 동원예비군 훈련, 지역예비군 훈련으로 나뉘게 되는데요. 여기서는 동원예비군 훈련 중에서 동원훈련에 대해서 자세히 알아보시기 바랍니다. 동원지정에 대해서 알아보기 동원지정이 되면 그에 따라서 동원훈련이 나오게 되는 것입니다. 동원지정은 군복무를 마친 예비역, 의무복무를 마친 병 1~4년 차와 예비역 간부 1~6년 차를 대상으로 지정합니다. 동원지정자는 주소지 기준 지정된 동원훈련 부대에서 입영하여 3일 동안(28시간) 훈련을 받게 됩니다. 동원지정 작업은 지.. 2024. 1. 14.